반응형
가상머신 vs 컨테이너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조율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아래와 같은 주요 기능들을 가진다.
- 자동 배포: 새로운 컨테이너나 애플리케이션 버전이 나오면 자동으로 클러스트에 배포
- 자동 스케일링: 부하가 증가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더 많은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부하가 감소되면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축소
- 서비스 디스커버리: 컨테이너들 간의 통신을 위해 서로 찾을 수 있게 해주는 메커니즘
- 로드 밸런싱: 트래픽을 여러 인스턴스로 분산해 시스템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성능을 향상
- 자동 롤링 업데이트: 새로운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배포될 때까지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
- 모니터링 및 로깅: 이벤트 및 로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
- 고가용성 분석: 여러 노드에 애플리케이션을 분산 배치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 시킴
쿠버네티스의 특징
1. 워크로드 분리
2. 어디서나 실행가능 - 온프레미스 환경, 퍼블랙 클라우드
파일 이름만 변경하면 동일하게 실행 가능하다.
3. 선언적 API
반응형
'Django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ightsail] 비공식 PPA를 통한 파이썬 설치하기 (3.12) (0) | 2024.08.06 |
---|---|
[AWS Lightsail] 리눅스 가상머신 생성 (0) | 2024.08.06 |
docker - getting disk info ... permission denied 에러 (0) | 2023.05.04 |
Docker image와 container 만들기 (0) | 2023.05.02 |
Docker - 네트워크 연결과 명령어, index.html 수정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