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서버의 종류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던 DNS의 동작과정에서 소개했던 도메인 서버의 종류와 그 외의 서버의 종류에 대해
기지국 DNS서버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DNS서버로, 휴대전화나 기타 이동장치가 인터넷에 연결할 때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해석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며 이동 통신 기지국과 관련된 네트워크 인프라에 통합되어 있다.
Root DNS 서버
Root DNS 서버는 전 서계의 DNS 계층 구조에서 최상위에 위치한 DNS서버로 모든 DNS 쿼리의 시작점이며,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계층적 구조에서 가장 상위에 있는 부분을 처리한다.
Root DNS서버는 인터넷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최상위 도메인(TLD)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TLD 서버
TLD 서버는 DNS에서 최상위 도메인에 대한 DNS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다. 최상위 도메인은 인터넷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도메인 계층으로, 우리가 주로 알고 있는. com,. org,. net,. edu,. gov,. kr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biz : 사업
.com : 영리 목적의 기업이나 단체
.co.국가로 쓰기도 한다.(co.kr 등)
.edu : 미국의 4년제 이상 교육기관
.info : 정보 관련
.jobs : 취업 관련 사이트
.name : 개인 사용자
.net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
.org : 비영리 기관
Second-level DNS 서버 (2차 도메인)
2차 도메인은 DNS에서 도메인의 계층 구조에서 두 번쨰 수준에 해당한다. 도메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naver.com'과 같이 최상위 도메인과 함께 사용되며, 여기서 2차 도메인은 "naver" 부분이다.
2차 도메인은 특정 기관, 회사, 개인 또는 조직을 나타내며, 해당 도메인을 등록한 사람 또는 기업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DNS 시스템에서 2차 도메인은 전 세계적으로 유니크해야 하므로, 도메인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도메인 등록기관을 통해 중복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할 수 있다.
Sub DNS 서버 (최하위 서버)
Sub DNS 서버는 DNS에서 기본 도메인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도메인이다.
서브 도메인은 기본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으로, 추가적인 도메인 관리 및 서비스를 위해 사용된다.
서브 도메인은 일반적으로 기본 도메인의 서비스, 위치, 부서 또는 카테고리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naver.com' 도메인에서 mail.naver.com, blog.naver.com에서 각각 mail과 blog가 서브 도메인이 되는 것이다.
서브도메인을 사용하면 여러 서비스나 부서간에 쉽게 구분하고 각 서비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도메인은 기본 도메인과 별개로 DNS 레코드를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서브 도메인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전체적인 DNS 서버 구성도
Reference
🌐 DNS 개념 & 동작 ★ 알기 쉽게 정리
DNS (Domain Name System) 란? 도메인 네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 DNS) 은 호스트의 도메인네임 (www.example.com)을 네트워크주소(192.168.1.0)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
inpa.tistory.com
DNS서버(네임서버)의 이해
DNS 설정에 앞서 DNS에 대한 이해를 넓혀보자. DNS란 무엇인가? DNS는 도메인네임서버를 일컫는다. 인터넷은 서버들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IP주소를 기본체계로 이용하는데 숫자로 이루어진 조
webdir.tistory.com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브라우저와 동작 원리 (1) | 2023.11.21 |
---|---|
운영체제(OS) 메모리 관리 (1) | 2023.11.19 |
DNS 개념과 동작 원리 (0) | 2023.11.10 |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1) | 2023.11.09 |
WebSocket과 HTTP, SSE (1)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