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FS
DFS는 깊이 우선 탐색이라고도 불리며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DFS는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하며,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다.
-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한 노드가 하나라도 있으면 그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한다.
- 방문하지 않은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
- 더 이상 2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 DFS 함수 정의
def dfs(graph, v, visited):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v] = True
print(v, end=' ')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dfs(graph, i, visited)
#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2차원 리스트)
graph = [
[],
[2, 3, 8],
[1, 7],
[1, 4, 5],
[3, 5],
[3, 4],
[7],
[2, 6, 8],
[1, 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1차원 리스트)
visited = [False] * 9
# 정의된 DFS 함수 호출
dfs(graph, 1, visited)
Reference
GitHub - ndb796/python-for-coding-test: [한빛미디어]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전체
[한빛미디어]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전체 소스코드 저장소입니다. - GitHub - ndb796/python-for-coding-test: [한빛미디어]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전체 소
github.com
[알고리즘] 깊이 우선 탐색(DFS)이란 - Heee's Development Blog
Step by step goes a long way.
gmlwjd9405.github.io
반응형
'Python > 알고리즘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퀵 정렬 (0) | 2023.11.05 |
---|---|
선택 정렬 & 삽입 정렬 (0) | 2023.11.03 |
재귀함수 (0) | 2023.10.22 |
스택과 큐 자료구조 (1) | 2023.10.21 |
그리디 알고리즘 & 구현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