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귀 함수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
단순한 형태의 재귀 함수 예제
- '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라는 문자열을 무한히 출력합니다.
- 어느 정도 출력하다가 최대 재귀 깊이 초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def recursive_function():
print('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
recursive_function()
recursive_function()
재귀함수를 문제 풀이에서 사용할 때는 재귀 함수의 종료 조건을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종료 조건을 제대로 명시하지 않으면 함수가 무한히 호출될 수 있다.
def recursive_function(i):
# 100번째 호출을 했을 때 종료되도록 종료 조건 명시
if i == 100:
return
print(i, '번째 재귀함수에서', i + 1, '번째 재귀함수를 호출합니다.')
recursive_function(i + 1)
print(i, '번째 재귀함수를 종료합니다.')
recursive_function(1)
팩토리얼 구현 예제
반복적으로 구현한 팩토리얼
# 반복적으로 구현한 n!
def factorial_iterative(n):
result = 1
# 1부터 n까지의 수를 차례대로 곱하기
for i in range(1, n + 1):
result *= i
return result
print('반복적으로 구현:', factorial_iterative(5))
재귀적으로 구현한 팩토리얼
# 재귀적으로 구현한 n!
def factorial_recursive(n):
if n <= 1: # n이 1 이하인 경우 1을 반환
return 1
# n! = n * (n - 1)!를 그대로 코드로 작성하기
return n * factorial_recursive(n - 1)
print('재귀적으로 구현:', factorial_recursive(5))
최대 공략수 계산 (유클리드 호제법) 예제
두 개의 자연수에 대한 최대공략수를 구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유클리드 호제법이 있다.
유클리드 호제법
-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 B)일 때,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
- A와 B의 최대 공략수는 B와 R의 최대 공약수와 같다.
def gcd(a, b):
if a % b == 0:
return b
else:
retrun gcd(b, a % b)
print(gcd(192, 162))
유의 사항
재귀함수를 잘 활용하면 복잡한 알고리즘을 간결히 작성할 수 있다.
- 단, 오히려 다른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운 형태의 코드가 될 수 있다.
모든 재귀 함수는 반복문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반복문이 더 유리한 경우도 있다.
컴퓨터가 함수를 연속적으로 호출하면 컴퓨터 메모리 내부의 스택 프레임에 쌓인다.
- 스택 라이브러리 대신 재귀함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Reference
GitHub - ndb796/python-for-coding-test: [한빛미디어]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전체
[한빛미디어]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전체 소스코드 저장소입니다. - GitHub - ndb796/python-for-coding-test: [한빛미디어]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전체 소
github.com
[자료구조] 4. 스택(Stack)이란? / 연산, 구현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택의 개념과 구조, 연산과 함께 스택을 각각 정적 및 동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 주요 개념 ✔️ 스택(Stack)이란? ✔️ 스택 vs 리스트 vs 큐 (비
roi-data.com
반응형
'Python > 알고리즘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퀵 정렬 (0) | 2023.11.05 |
---|---|
선택 정렬 & 삽입 정렬 (0) | 2023.11.03 |
DFS (0) | 2023.10.24 |
스택과 큐 자료구조 (1) | 2023.10.21 |
그리디 알고리즘 & 구현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