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ng_seoung 2024. 1. 11. 09:59
반응형

UI 요구사항 확인

UI 요구사항의 개념

  • 새로 개발할 시스템의 적용할 UI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한다.
  • 다양한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분석한 후 명세한다.
  • 목표 정의, 활동 사항 정의, UI 요구사항 작성 순으로 진행한다.

목표 정의

  1. 목표 정의의 개념: 다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업적, 기술적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한다.
  2. 인터뷰 진행 시 고려 사항
    • 최대한 개별적으로 진행, 최대한 많은 인원을 인터뷰
    • 다수의 의견을 수렴, 소수의 의견을 놓치면 안됨
    • 한시간을 넘지 않도록하고, 리서치를 시작하기 전에 진행

활동 사항 정의

  1. 활동 사항 정의의 개념: 조사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앞으로 진행해야 할 활동들을 정의한다.
  2. 활동 사항 정의의 특징
    • 사용자와 회사의 목표를 일치시키는 작업이다.
    • 개발에 필요한 자원을 결정하여 리서치 규모 및 디자인 목표 등을 결정한다.
    • 단위 업무를 구분하고 작업의 우선 순위를 선정한다.
    • 프로세스 책임자와 회의 일정 및 계획을 작성한다.

요구사항 작성

  1. 요구사항 작성시 고려 사항
    • 반드시 실 사용자 중심으로 작성한다.
    • 인터뷰와 리서치를 바탕으로 작성한다.
    • 요구사항 요소 확인, 정황 시나리오 작성, 요구사항 작성의 순서를 가진다.
  2. 요구사항 요소 확인
    • 데이터
      • 가장 초기에 확인, 인터페이스 구성에 영향을 미침
      • 사용자 요구 모델들의 주요 특성을 기반으로 데이터 객체 정리
    • 기능 요구
      • 사용자 목적 달성을 위한 기능 항목을 동사형으로 정리
      • 요구사항 충족의 핵심으로 최대한 절저히 정리
    • 제품/서비스의 품질
      • 제품의 품질과 서비스, 감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작성
    • 제약 사항
      • 개발에 필요한 비용, 시스템 규제, 개발 데드라인 확인
  3. 정황 시나리오 작성
    •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을 위해 작성하는 초기 시나리오
    • 6하원치에 따라서 이야기 형식으로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
    • 기능 중심으로 작성, 함께 발생되는 기능들은 하나의 시나리오로 분리
    • 외부 전문가, 다 경험자에게 검토를 의뢰
  4. 요구사항 작성
    • 정황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최종 요구사항을 작성

 

UI프로토 타입

UI 프로토타입의 개념

  1. UI 프로토타입 작성시 고려사항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최대한 간단하게 제작한다.
    • 제품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능은 반드시 포함한다.
    • 사용자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될때까지 지속적으로 보완, 개선한다.
  2. 제작 단계
    • 1단계: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 2단계: 프로토타입을 손으로 직접 그리거나 편집 도구등을 이용한다.
    • 3단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여 기능의 추가 및 수정 의견을 제안한다.
    • 4단계: 요청한 제안 사항을 바탕으로 수정과 합의가 이뤄지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최종 승인할때까지 3~4 단계를 반복한다.

UI 프로토 타입의 장단점

  1. 장점
    • 사용자 설득에 용이하다.
    • 결함을 사전에 발견할 수 있다.
    • 요구사항과 기능의 불일치를 예방할 수 있다.
  2. 단점
    • 반복적인 개선작업에 의해 필요 이상의 자원이 소모될 수 있다.
    • 프로토타입을 진행하지 않은 중요한 기능이 생략될 수 있다. 

종류

  1. 페이퍼 프로토타입
    • 손으로 직접 스케치, 그림 등을 이용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 적은 자원으로 개발하는 경우 사용한다.
    • 장점: 비용 저럼, 회의중 작성 가능, 즉시 변경, 고객의 기대감 감소
    • 단점: 실제 테스트 부적절, 상호 관계 표시 어려움, 공유 어려움
  2. 디지털 프로토 타입
    •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 숙련된 전문가가 있어 산출물과 유사한 품질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
    • 장점: 최종 제품과 비슷한 환경으로 테스트 가능, 수정과 재사용 용이함
    • 단점: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법 숙지 필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