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문제풀이] 1654 : 랜선 자르기 파이썬 (파이썬)
문제 링크
1654번: 랜선 자르기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고, N은 1이상 1,000,000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 N 이다. 그
www.acmicpc.net
깃허브 링크
GitHub - jong-seoung/BaekJoon: 백준 문제풀이
백준 문제풀이. Contribute to jong-seoung/BaekJo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1654. 랜선 자르기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정답 비율 |
2 초 | 128 MB | 21.095 % |
문제
집에서 시간을 보내던 오영식은 박성원의 부름을 받고 급히 달려왔다. 박성원이 캠프 때 쓸 N개의 랜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바빠서 영식이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미 오영식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박성원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짜리 랜선에서 140cm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는 버려야 한다. (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
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길이만큼 자른다고 가정하자. N개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N개를 만드는 것에 포함된다. 이때 만들 수 있는 최대 랜선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문제 요약
-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함
-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는 버림
-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
-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길이만큼 자른다고 가정
- N개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N개를 만드는 것에 포함
- 최대 랜선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
입력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 이상 10,000 이하의 정수이고, N은 1 이상 1,000,000 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 N 이다. 그 후 K 줄에 걸쳐 이미 가지고 있는 각 랜선의 길이가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입력된다. 랜선의 길이는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개를 만들 수 있는 랜선의 최대 길이를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출력한다.
해결책
이분탐색으로 풀 수 있는 대표적인 알고리즘 문제이다.
- 가장 짧은 길이 1을 start, 랜선중 가장 긴 길이를 end로 설정
- 이분 탐색이 끝날때까지 while문을 반복해 준다.
- mid를 start와 end의 중간 값으로 두고 모든 랜선값을 mid로 나누어 몇 개의 랜선이 나오는지 확인
- 랜선이 목표치보다 많으면 mid + 1을 start로 설정
- 랜선이 목표치보다 작으면 mid - 1을 end로 설정
- start와 end가 같아지면 end 값을 출력
코드
n, k = map(int,input().split())
lst = []
for i in range(n):
a = int(input())
lst.append(a)
end = max(lst)
start = 1
while(start <= end):
mid = (start + end)//2
cnt = 0
for i in lst:
print(i)
cnt += i // mid
if cnt >= k: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print(end)
'Python >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 2023.09.12 |
---|---|
[백준 문제풀이] 1874 : 스택 수열 (파이썬) (0) | 2023.01.17 |
[백준 문제풀이] 1436 : 영화감독 숌 (파이썬) (0) | 2023.01.09 |
[백준] 9012 : 괄호 (파이썬) (0) | 2022.11.02 |
[백준] 10773 : 제로 (파이썬)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