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 Amazon CloudFront로 알려져 있다.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전 세계의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하는 서비스로, 전 세계에 분산된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 한다.
주요 특징
엣지 로케이션
- 콘텐츠를 캐싱하는 서버 위치로, 전 세계 여러 곳에 분산됨
- 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오면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이를 캐시 히트 라고 한다.
- 엣지 로케이션에 해당 콘텐츠가 없으면 캐시 미스가 발생하고, 원본 서버에서 콘텐츠를 가져와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후 해당 콘텐츠는 엣지 로케이션에 캐시 된다.
AWS 백본 네트워크
- CloudFront는 단순히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만 아니라, AWS의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이동 시킨다.
- 데이터 센터, 가용 영역, 리전, 엣지 로케이션을 연결하는 초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어디에서 요청하든 최적의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해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CloudFront 배포 과정
1. 오리진 서버 구성: 콘텐츠를 제공할 서버를 구성한다.
2. 콘텐츠 업로드: 오리진 서버에 제공할 콘텐츠를 업로드 한다.
3. CloudFront 배포 생성: 오리진 서버를 지정하고 CloudFront에 배포를 생성한다.
4. 도메인 이름 할당: 베포를 생성하면 CloudFront는 고유한 도메인 이름을 할당해준다.
5. 배포 구성 전송: 배포 구성이 전 세계 엣지 로케이션으로 전송되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오리진 액세스 제어
오리진 액세스 제어를 사용하면 CloudFront만이 S3오리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S3 버킷을 외부 접근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CloudFront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AWS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서비스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
전 세계의 여러 위치한 엣지 로케이션에 콘텐츠를 캐시
사용자가 요청하면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에서 콘텐츠 제공 - 캐시 히트
엣지 로케이션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없으면, 원본 서버에서 콘텐츠를 가지고와 사용자에게 전달 - 캐시 미스
엣지 로케이션은 원본 서버에서 가져온 콘텐츠를 캐시
AWS 백본 네트워크
CloudFront는 단순 엣지 로케이션이 가깝다는 이유만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게 아니라 AWS의 백본 네트워크 덕분인다. AWS의 여러 리소스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S3의 버킷 정책을 수정하여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비용 구조
사용량 기반 요금제로, 콘텐츠 요성 및 전송량에 따라 비용이 부과된다.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선불 약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할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https://aws.amazon.com/ko/cloudfront/
CDN 서비스 | CloudFront | Amazon Web Services
aws.amazon.com
'Django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도커의 필요성과 장점 (1) | 2024.10.17 |
---|---|
[AWS] Micro Service Architecture (0) | 2024.10.17 |
[AWS] 스토리지 클래스와 Lifecycle (0) | 2024.10.14 |
[AWS] S3 - 버전 관리 (0) | 2024.10.14 |
[AWS] S3 - 무한 확장 저장소, 버킷 생성, 권한 설정 & 객체 추가 (0) |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