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DS는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AWS RDS는 PostgreSQL, MySQL, Maria DB, Oracle, Microsoft SQL, Aurorua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하며, 사용자는 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해 손쉽게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AWS RDS의 주요 기능과 장점, 그리고 RDS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살펴보려고 한다.
AWS RDS의 장점
운영 관리 자동화
RDS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AWS가 운영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해준다는 점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필요한 백업, 패지 적용, 복구 작업을 AWS에 맡길 수 있어, 운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자동 백업과 자동 복구는 데이터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보안성
RDS는 EC2인스턴스처럼 SSH로 접속이 불가능하다. 이는 보안상 큰 장점이 된다. 관리자 조차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서버에 대한 물리적 보안이 강화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접속 경로가 차단되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자동 스토리지 스케일링
RDS는 자동 스토리지 스케일링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스토리지 용량이 부족해질 경우, RDS는 자동으로 스토리지를 확장하여 중단없이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스토리지 확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한 작업일 수 있지만, RDS는 이를 쉽게 처리해준다.
백업 및 마이그레이션
RDS에서는 자동 및 수동 백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작업도 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주요 기능
Multi-AZ 배포
Multi-AZ는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가용 영역에 복제하여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해준다. 만약 데이터베이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복제본이 메인 데이터 베이스로 승격되어 서비스가 중단 없이 유지된다.
- 장점: 메인 데이터베이스의 장애에도 복제본이 자동으로 장애 조치가 이루어져 고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 단점: 장애 조치시에는 약간의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읽기 전용 복제본
읽기 전용 복제본은 데이터베이스의 읽기 트래픽을 분산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메인 데이터베이스는 쓰기 트래픽만 처리하고, 읽기 전용 복제본은 읽기 트래픽을 처리해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 비동기 복제: 읽기 전용 복제본은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복제한다. 이로 인해 복제본은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금 늦게 반영할 수 있다.
- 개별 엔드 포인트: 각 읽기 전용 복제본은 개별엔드포인트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읽기 요청을 여러 복제본으로 분산이 가능하다.
RDS Proxy
RDS Proxy는 RDS앞에 위치하여 트래픽을 중계하고,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특히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모니터링하며, 연결실패나 지연발생 시 자동으로 장애 조치하여 성능을 향상 시킨다.
- 트래픽 관리: RDS Proxy는 비정상적인 연걸 시도를 감지하여 해당 연결로 트래픽을 전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연결 실패시에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 장애 조치 시간 단축: Multi-AZ 환경에서 장애 조치 시간을 최대 66% 이상 단축할 수 있다.
'BackEnd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Multi AZ (1) | 2024.10.11 |
---|---|
[AWS] RDS 읽기 복제본 - 읽기 트래픽 분산 (0) | 2024.10.10 |
[AWS] AMI 만들기 & Launch Template (1) | 2024.10.08 |
[AWS] RDS 인스턴스 생성, 연결 (0) | 2024.10.07 |
[AWS] EC2 사용자 데이터가 재 실행 되도록 설정(테스트 목적) (0)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