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를 사용하면서 예상치 못했던 비용이 부과되는 경우를 한 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시크릿키가 분실되거나 해킹이나 모종의 이유로 예기치 못한 비용이 발생할 수 도 있다. 개인적으로 AWS예산 설정에 대해서 알기 전에 공부를 하는 입장에서 AWS에 대해서 과금이 되었다는 이야기만 듣고 시작하려니 부담이 되었던 것 같다.
AWS에서는 예산을 설정하고, 초과될 경우 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AWS Budgets를 사용하여 비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알람 설정, 실시간 비용 추적 및 분석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을 추천한다.
AWS 홈페이지 접속
AWS 홈페이지를 접속하여 로그인해준다.
과금 정보 및 비용 관리 홈으로 이동
우측 상단에 프로필을 눌러, 결제 및 비용 관리로 들어가게 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로 이동이 된다.
예산 선택하기
좌측 사이드바 목록에서 예산을 눌러 이동 후, 우측 상단에 예산 생성으로 들어가게 되면 아래와 같이 예산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산 유형에는 사용자 지정과 템플릿 사용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나는 템플릿 - 월별 비용 예산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예산 이름 & 예산 금액을 설정하고 만들게 되면 아래와 같이 예산이 생성된다.
예산 금액은 말 그대로 마지노션을 지정해 주고 예산 이름은 마지노선의 75%, 100%, 100%가 넘을 것이라고 예상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 예산 이름을 이메일 제목으로 이메일이 전달된다.
반응형
'Django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PC 네트워크 구성 실습 (1) | 2024.09.23 |
---|---|
[AWS] VPC란? VPC의 구성 요소와 보안 강화를 위한 필수 요소들 (0) | 2024.09.18 |
[AWS Lightsail]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연동 (0) | 2024.08.07 |
[Nginx] Nginx를 통한 static/media 파일 서빙 (0) | 2024.08.07 |
[Nginx] Nginx를 경유해서 장고로 요청 전달하기 (0) | 202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