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명명 규칙은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명명 규칙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변수, 함수, 클래스, 모듈 등의 이름은 해당 요소의 역할이나 기능을 명확하게 전달해야한다. 이름만으로도 코드를 읽는 사람이 해당 요소가 무엇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Camel Case
대소문자를 혼합하여 단어를 나타낸다.
첫단어는 소문자로 시작하고, 다음 단어 부터는 첫문자를 대문자로 시작한다.
Snake Case
단어를 모두 소문자로 표기하고 단어 사이를 언더바로 구분한다.
Pascal Case
각 단어의 첫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Kebab Case
Spinal Case, Train Case, Lisp Case라고도 불린다.
각 단어 사이를 하이픈(-)으로 구분하는 표기법이다.
주로 HTML의 id, class 속성으로 사용 된다.
Hungarian Notation
이름 앞에 변수의 타입을 접두어로 넣어주는 표기법이다.
접두어의 종류로는 ch, str, i, db, b 등이 있다.
그 외 알아두면 좋은 네이밍 규칙
의미 있는 접두사, 접미사 사용 - 변수나 함수의 이름에는 해당 요소의 역할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의미있는 접두사, 접미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좋아요 기능을 구현할때 is_liked로 네이밍 하였는데 여기서 is는 Boolean 값을 나타내는 변수에 사용할 수 있다.
예약어 피하기 - 언어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키워드를 변수명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가능한 간결하게 - 이름은 명확하면소도 가능한 간결해야한다. 간결하고 쉽게
명확하고 일관된 단어 선택 - 코드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일관성 있게 사용되어야 한다.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 표현식 (0) | 2024.06.10 |
---|---|
효율적으로 로그 관리하기 (1) | 2024.05.23 |
호스팅이란? (0) | 2023.11.26 |
HTTP란 무엇인가? (0) | 2023.11.24 |
웹 브라우저와 동작 원리 (1) | 2023.11.21 |
프로그램 명명 규칙은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명명 규칙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변수, 함수, 클래스, 모듈 등의 이름은 해당 요소의 역할이나 기능을 명확하게 전달해야한다. 이름만으로도 코드를 읽는 사람이 해당 요소가 무엇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Camel Case
대소문자를 혼합하여 단어를 나타낸다.
첫단어는 소문자로 시작하고, 다음 단어 부터는 첫문자를 대문자로 시작한다.
Snake Case
단어를 모두 소문자로 표기하고 단어 사이를 언더바로 구분한다.
Pascal Case
각 단어의 첫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Kebab Case
Spinal Case, Train Case, Lisp Case라고도 불린다.
각 단어 사이를 하이픈(-)으로 구분하는 표기법이다.
주로 HTML의 id, class 속성으로 사용 된다.
Hungarian Notation
이름 앞에 변수의 타입을 접두어로 넣어주는 표기법이다.
접두어의 종류로는 ch, str, i, db, b 등이 있다.
그 외 알아두면 좋은 네이밍 규칙
의미 있는 접두사, 접미사 사용 - 변수나 함수의 이름에는 해당 요소의 역할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의미있는 접두사, 접미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좋아요 기능을 구현할때 is_liked로 네이밍 하였는데 여기서 is는 Boolean 값을 나타내는 변수에 사용할 수 있다.
예약어 피하기 - 언어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키워드를 변수명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가능한 간결하게 - 이름은 명확하면소도 가능한 간결해야한다. 간결하고 쉽게
명확하고 일관된 단어 선택 - 코드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일관성 있게 사용되어야 한다.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 표현식 (0) | 2024.06.10 |
---|---|
효율적으로 로그 관리하기 (1) | 2024.05.23 |
호스팅이란? (0) | 2023.11.26 |
HTTP란 무엇인가? (0) | 2023.11.24 |
웹 브라우저와 동작 원리 (1) |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