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L
유저를 생성하고 권한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
Oracle과 SQL Server의 사용자 아키텍처 차이
Oracle : 유저를 통해 DB에 접속을 하는 형태, ID와 PW 방식으로 인스턴스에 접속을 하고 그에 해당하는 스키마에 오브젝트 생성 등의 권한을 부여받게 됨.
SQL Server :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 로그인이라는 것을 생성하게 되며, 인스턴스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DB에 연결하여 작업하기 위해 유저를 생성한 후 로그인과 유저를 매핑해 주어야 한다. Windows 인증 방식과 혼합 모드 방식이 존재함.
시스템 권한
사용자가 SQL문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권한
- GRAND : 권한 부여
- REVOKE : 권한 취소
GRANT CREATE USER TO SCOTT;
- SCOTT에게 CREATE USER 권한 부여
CONN SCOTT/TIGER(ID/PW)
- SCOTT 사용자로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
CREATE USER PJS IDENTIFIED BY KOREA7;
- PJS라는 새로운 유저를 생성
- 비밀번호는 KOREA7
GRANT CREATE SESSION TO PJS;
- PJS에게 CREATE SESSION 권한을 부여
GRANT CREATE TABLE TO PJS;
- PJS에게 CREATE TABLE 권한을 부여
REVOKE CREATE TABLE FROM PJS;
- PJS에게서 CREATE TABLE 권한을 취소함
모든 유저는 각각 자신이 생성한 테이블 외에 다른 유저의 테이블에 접근하려면 해당 테이블에 대한 오브젝트 권한을 소유자로부터 부여받아야 한다.
ROLE : 유저에게 알맞은 권한들을 한번에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CREATE ROLE LOGIN_TABLE;
GRANT CREATE TABLE TO LOGIN_TABLE;
DROP USER PJS CASCADE;
CASCADE : 하위 오브젝트까지 삭제
참고 사이트
요약 정리본 : https://yurimac.tistory.com/40
SQL) SQLD 이론 요약 정리 PDF
13페이지 분량의 SQLD 이론 요점 정리 PDF 파일을 공유합니다. 원본에서 필요하다 생각된 부분들을 추가, 삭제했습니다. 나름 오래 걸렸네요.. 🥲 2장 3절인 SQL 최적화 부분은 개정판부터 제거됐다
yurimac.tistory.com
DATE ON-AIR: https://dataonair.or.kr/db-tech-reference/d-guide/sql/?pageid=5&mod=list
SQL – DATA ON-AIR
dataonair.or.kr